하크로비아(Hacrobia)는 SAR 상군에 포함되지 않는 크로말베올라타의 단계통군의 하나이다.[1]
다음 생물군을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는, 부등편모조류와 착편모조류 그리고 은편모조류는 유색조식물(chromista)로 알려진 그룹으로 함께 분류된 적이 있었다.[2] 그러나 부등편모조류는 이제 분리되었으며, 은편모조류와 착편모조류는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3](그래서 "은편모-착편모조류 군"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기도 한다.)[4] 2009년의 한 논문은 텔로네미아(Telonemia)와 육질태양충류(centrohelids)도 은편모조류 및 착편모조류와 함께 같은 생물군을 형성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5] 피코빌리조류(picobiliphytes) 또한 이 분류군으로 제안되고 있다.[6]
"하크로비아"(Hacrobia)라는 명칭은 이 그룹 이름으로 제안되었다.[6] "하"(Ha-)는 착편모조류(haptophyta)를, "크로"(-cr-)는 은편모조류(cryptomonads)를 "비아"(-bia)는 생명을 뜻하는 그리스어 접미사를 가리킨다.
다음은 아들(Adl et al. 2012)과 부르키(Burki, 2014/2016) 등의 진핵생물 계통 분류이다.[7][8][9]
진핵생물 AH/SAR 원시색소체생물2016년 실라(Silar)에 의한 하크로비아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0][11]
하크로비아 넓은 의미의 크립티스타 코르비헬리아 엔도헬레아상강 코르비스토마상강 좁은 의미의 크립티스타 팔피토아문 롤로모나스아문 레우크립토스상강 은편모조류 합티스타 육질태양충류 착편모조아문 RappemonadaRappephyceae
Haptomonada하크로비아(Hacrobia)는 SAR 상군에 포함되지 않는 크로말베올라타의 단계통군의 하나이다.
다음 생물군을 포함하고 있다.
착편모조류 (Haptophyta) 은편모조류 또는 갈색편모조류 (Cryptophyta) - 카타블레파리스류 포함과거에는, 부등편모조류와 착편모조류 그리고 은편모조류는 유색조식물(chromista)로 알려진 그룹으로 함께 분류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부등편모조류는 이제 분리되었으며, 은편모조류와 착편모조류는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그래서 "은편모-착편모조류 군"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2009년의 한 논문은 텔로네미아(Telonemia)와 육질태양충류(centrohelids)도 은편모조류 및 착편모조류와 함께 같은 생물군을 형성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피코빌리조류(picobiliphytes) 또한 이 분류군으로 제안되고 있다.
"하크로비아"(Hacrobia)라는 명칭은 이 그룹 이름으로 제안되었다. "하"(Ha-)는 착편모조류(haptophyta)를, "크로"(-cr-)는 은편모조류(cryptomonads)를 "비아"(-bia)는 생명을 뜻하는 그리스어 접미사를 가리킨다.